서로 사랑하라 시각장애 김지선의 삶 > 알림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센터활동

알림게시판

HOME > 센터활동 > 알림게시판

서로 사랑하라 시각장애 김지선의 삶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유달자립센터 작성일19-08-27 09:30 조회7,979회 댓글0건

본문

 

서로 사랑하라

시각장애 김지선 씨의 삶 - ①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9-08-26 15:26:42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님은 갔습니다,

푸른 산 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여 난 작은 길을 걸어서,
차마 떨치고 갔습니다,

황금의 꽃같이 굳고 빛나던 옛 맹세는 차디찬 티끌이 되어서,
한숨의 미풍에 날아갔습니다,

날카로운 첫 키스의 추억은 나의 운명의 지침(指針)을 돌려놓고,
뒷걸음쳐서 사라졌습니다,

나는 향기로운 님의 말소리에 귀먹고, 꽃다운 님의 얼굴에 눈멀었습니다,

사랑도 사람의 일이라, 만날 때에 미리 떠날 것을 염려하고 경계하지 아니한 것은 아니지만, 이별은 뜻밖의 일이 되고 놀란 가슴은 새로운 슬픔에 터집니다,

그러나 이별을 쓸데없는 눈물의 원천을 만들고 마는 것은 스스로 사랑을 깨치는 것인 줄 아는 까닭에, 걷잡을 수없는 슬픔의 힘을 옮겨서 새 희망의 정수박이에 들어부었습니다,

우리는 만날 때에 떠날 것을 염려하는 것과 같이,
떠날 때에 다시 만날 것을 믿습니다,

아아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제 곡조를 못 이기는 사랑의 노래는 님의 침묵을 휩싸고 돕니다.’


만해 한용운(萬海 韓龍雲)의 ‘님의 침묵’이라는 자유시다. ‘님의 침묵’은 한국 근대시사에 있어서 기념비적 시집의 하나라고 한다. ‘님의 침묵’은 일제강점기인 1926년에 발간되었다. 따라서 이 시에서 핵심적인 시어인 ‘님’은 잃어버린 조국이라고 했다.

저자 한용운은 시인이고 승려이고 독립운동가로서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33인 중의 한 명이다. 한용운이 말하는 ‘님’은 조국이나 연인이나 절대자를 넘어 삼라만상에 존재하는 생명의 역동성일지도 모른다.

한용운은 ‘님의 침묵’에서 표면적으로는 ‘님’과의 이별이다. 그의 님은 갔지만 그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다는 역설적 표현은 이별의 아픔을 넘어서고자 하는 극복 의지가 내포되어 있을지도 모른다. -‘님의 침묵’에서 줄 바꿈은 필자가 임의로 한 것임.

필자가 김지선 씨를 만났을 때 좋아하는 시가 있느냐고 물었더니 한용운의 ‘님의 침묵’이라고 했다. 왜 어쩌다가 ‘님의 침묵’을 좋아하게 되었을까.

“지금은 빼앗긴 조국도 없고, 헤어진 연인도 없는데 그런데도 ‘님의 침묵’이 좋은 것은 뭔가 제가 바라고 기다리는 게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김지선씨. ⓒ이복남에이블포토로 보기 김지선씨. ⓒ이복남
김지선(1996년생) 씨는 경상북도 구미에서 태어났다. 부모님에게는 어렵게 얻은 첫딸인데 미숙아였다. 태어나자마자 인큐베이터에 있었는데 눈을 뜨지 못했다. 미숙아 망막병증이었다.

미숙아 망막병증이란 미숙아, 특히 저체중출생아에게서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다. 출생 시 망막의 혈관이 완전히 형성되지 않은 미숙아에게 출생 후 혈관형성 과정에 장애가 발생하면 망막의 혈관형성부위와 혈관무형성 부위의 경계에서 비정상적인 섬유혈관증식이 발생한다. 이것이 더욱 진행하여 망막이 박리되면서 최종적으로는 실명을 초래할 수 있는 질병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김지선 어머니 : “결혼 10년 만에 나은 아이였어요. 출산을 두 달 앞두고 8개월 만에 지선이를 낳았죠. 그런데 앞을 못 본다니…. 정말 받아들이기 힘들었어요. 그래서 심한 우울증까지 앓았습니다.”

1kg의 미숙아에게 세상의 빛은 허락되지 않았다. 8개월 만에 태어난 아이는 축복을 받기도 전에 어머니의 흐느낌을 먼저 들어야 했던 것일까. 어머니의 기억 속에 지선이는 새 생명의 탄생이라는 기쁨보다 차라리 아픔이었다. 그러나 아이는 자신이 시각장애인이라는 사실도 모른 채 귀에 들리는 소리와 감각으로 세상을 천진난만하게 살아내고 있었다.

부산에서 맞이한 생일. ⓒ이복남에이블포토로 보기 부산에서 맞이한 생일. ⓒ이복남
부모님은 노심초사했다. 그가 인큐베이터에서 나왔을 때는 그래도 저시력이었으나 어머니는 아이를 데리고 병원을 전전했고 여러 번 수술도 했다. 아이의 시력을 낫게 해 보려고 수술을 했는데 결과는 더 나빠졌다.

그래서 부모님의 심정은 어떠했을까.

김지선 : “엄마는 옛날이야기만 하면 우시는데 저는 엄마가 우시는 게 너무 싫습니다.”

김지선 씨는 어머니와 함께 부산 공연을 왔을 때 만났는데, 어머니는 잠시 다른 볼일을 보러 가셔서 처음에는 지선 씨만 만났고 어머니는 나중에 합류했다.

김지선 씨는 태어날 때부터 눈이 나빴고 서너 살 무렵에는 완전 실명을 했으므로 시각적인 세상에 대해서는 그저 짐작만 할 뿐이다.

김지선 씨는 외동이다. 동생에 대해서는 생각해 보지 않았을까.

김지선 : “어릴 때 부모님이 물어보셨는데 제가 싫다고 했습니다. 제가 욕심쟁이라 그런지 제 사랑을 동생에게 뺏기는 것 같아서 싫다고 했는데 지금 와서 생각하면 동생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김지선 씨는 음악가다. 부모님이나 친인척 가운데 음악 하는 사람이 있었을까.

김지선 : “아버지는 평범한 회사원이었고 어머니도 고등학교를 졸업한 가정주부였는데 친인척 가운데 음악 하는 사람은 없었습니다.”

그가 기억하는 가장 어릴 때의 기억은 네 살쯤이라고 했다.

김지선 : “어머니는 뜨게 방을 운영하셨는데 항상 동요 테이프를 틀어 놓으셨고 저는 가게에서 여러 가지 장난감을 가지고 놀았는데 그 중에는 장난감 피아노도 있었습니다.”

그는 뜨게 방 한편에서 장난감 피아노를 치면서 혼자 놀았다. 어머니는 아이가 피아노를 치며 노는 것을 보면서도 아이가 음악을 한다는 생각은 미처 못 했고 그냥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거라고만 생각했다.

김지선 : “하루는 뜨게 방에 손님이 와서 제가 학교종이 땡땡땡 산토끼 같은 것을 치는 것을 보고는 신기해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손님은 그에게 이것저것 피아노를 쳐 보라고 했다. 그 손님 앞에서 여러 곡을 쳤는데 손님은 아이를 그냥 두면 안 되겠다며 피아노 학원에 가서 테스트를 해 보라고 재촉했다.

보리수 음악회. ⓒ이복남에이블포토로 보기 보리수 음악회. ⓒ이복남
어머니도 그때서야 놀라서 근처 피아노 학원으로 아이를 데려갔다. 그런데 피아노 학원에서는 눈 감은 네 살 자리 꼬마를 보고는 난색을 보였다.

김지선 : “엄마가 학원 선생에게 피아노를 한 번만 치게 해달라고 사정을 했습니다.”

선생은 마지못해 피아노를 치게 했다. 그동안 어머니 뜨게 방에서 장난감 피아노만 쳐보았을 뿐 진짜 피아노는 처음이었다. 그럼에도 눈 감은 아이는 불안이나 두려움 같은 것을 몰랐는지 피아노를 잘 쳤다.

김지선 : “학교종이 땡땡땡 외에 지금도 잊히지 않는 곡은 미레미레미시레도라……. ‘엘리제를 위하여’ 입니다.”

학원 선생은 눈감은 네 살 자리 꼬마애가 엘리제를 위하여를 치는 것을 보고는 깜짝 놀랐다.

김지선 : “동요 테이프에 그 곡이 있었는지, 저도 사실 그 곡을 어디서 듣고 배웠는지 잘 모릅니다.” [2편에 계속]

* 이복남 기자는 에이블뉴스 객원기자로 하사가장애인상담넷(www.gktkrk.net)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유달장애인자립생활지원센터
주소 : (58707) 전라남도 목포시 산정로 148, 6~7층(산정동 1044-10)
전화 : 061-801-7534~7, 061-803-2020  /  팩스 : 061-800-8877
Website URL : http://ucil.kr  /  E-mail : yudalil@cowalk.info

(사)전남장애인권익연구소   주소 : (58707) 전라남도 목포시 산정로 148, 6~7층(산정동 1044-10)
전화 : 061-284-6705(대)   전송 : 061-284-6332, 0303-0285-8298   Website URL : http://www.cowalk.info   E-mail Adress : 2846705@cowalk.info
Copyright (c) (사)전남장애인권익연구소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