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서비스 공급자 99% “사각지대 있다” 인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유달자립센터 작성일19-07-24 09:59 조회7,985회 댓글0건본문
복지서비스 공급자 99% “사각지대 있다” 인식
발생 사유 대부분 ‘대상자 비신청·구조적배제’ 꼽아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9-07-23 16:46:37
복지서비스 공급자의 99%가 복지 분야에 사각지대가 존재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현재 시행 중인 사회보장제도 중 사각지대 문제가 가장 심각한 제도로는 ‘공공부조’를 꼽았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3일 사회보장평가연구센터 임완섭 연구위원이 집필한 ‘복지 분야 사각지대와 부정수급에 대한 복지서비스 공급자의 인식 비교: 사각지대와 부정수급 발생 유형을 중심으로’가 담긴 ‘보건복지 ISSUE & FOCUS’ 제365호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에는 시·군·구청 통합조사관리팀 97명, 주거급여사업팀 100명, 희망복지지원단 103명, 읍·면·동 주민센터 200명, LH 주거급여사무소 200명 등 총 700명의 복지업무 종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부정수급, 사각지대의 규모, 유형별 현황 인식 조사 결과가 담겨 있다.
이중 복지 분야 전반의 사각지대 규모에 대한 인식은 복지서비스 공급자의 99.3%가 복지 분야에 사각지대가 존재한다고 인식했고, 43.2%는 ‘사각지대가 많다’고 응답했다.
현재 시행 중인 사회보장제도 중 사각지대 문제가 가장 심각한 제도로는 ‘공공부조’가 꼽혔으며(35.1%), 그다음은 ‘건강보험 및 장기요양보험’(17.6%), ‘공공임대주택’(12.7%) 순이었다.
공공부조의 가장 대표적인 제도인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급여 중에서 사각지대 문제가 가장 심각한 프로그램은 49%가 ‘생계급여’라고 꼽았고 주거급여(25.7%), 의료급여(21.4%)가 뒤를 이었다. 반면 부양의무자 기준이 적용되지 않고 급여 기준선도 가장 높은 교육급여의 경우 응답 비율이 3.9%로 가장 낮았다.
복지제도 전반에 대한 사각지대 발생 사유는 ‘대상자가 신청하지 않아서(대상자 비신청)’가 45.7%로 가장 높았고, ‘제한적 대상 등 제도 설계 측면(구조적 배제)’도 36.1%나 됐다.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경우는 ‘구조적 배제’가 48%로 절반 가까이 꼽았으며 ‘대상자 비신청(36.7%)’, ‘대상자의 욕구 미충족(16%)’이 뒤를 이었다.
‘대상자의 비신청’ 사유는 ‘대상자가 몰라서’라고 응답한 비율이 복지제도 전반 70.9%,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67.3%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신청·선정 과정의 복잡성’, ‘선정 기준의 엄격성’이었다.
임 연구위원은 “‘사회적 낙인’과 같이 기존에 관심을 갖던 사각지대 발생 원인보다는 제도의 복잡성, 복지 대상자의 제도인지 여부 등과 같은 정보 측면의 원인이 사각지대 발생의 주원인임을 시사한다”면서 “지금까지의 제도 홍보 및 정보 제공 방식이 효과적이지 못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앙정부는 물론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복지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임 연구위원은 또한 “복지 프로그램의 대상자 중 정보 습득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노인과 정보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1인 가구 등이 정보 부족으로 복지급여를 신청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 더욱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3일 사회보장평가연구센터 임완섭 연구위원이 집필한 ‘복지 분야 사각지대와 부정수급에 대한 복지서비스 공급자의 인식 비교: 사각지대와 부정수급 발생 유형을 중심으로’가 담긴 ‘보건복지 ISSUE & FOCUS’ 제365호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에는 시·군·구청 통합조사관리팀 97명, 주거급여사업팀 100명, 희망복지지원단 103명, 읍·면·동 주민센터 200명, LH 주거급여사무소 200명 등 총 700명의 복지업무 종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부정수급, 사각지대의 규모, 유형별 현황 인식 조사 결과가 담겨 있다.
이중 복지 분야 전반의 사각지대 규모에 대한 인식은 복지서비스 공급자의 99.3%가 복지 분야에 사각지대가 존재한다고 인식했고, 43.2%는 ‘사각지대가 많다’고 응답했다.
현재 시행 중인 사회보장제도 중 사각지대 문제가 가장 심각한 제도로는 ‘공공부조’가 꼽혔으며(35.1%), 그다음은 ‘건강보험 및 장기요양보험’(17.6%), ‘공공임대주택’(12.7%) 순이었다.
공공부조의 가장 대표적인 제도인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급여 중에서 사각지대 문제가 가장 심각한 프로그램은 49%가 ‘생계급여’라고 꼽았고 주거급여(25.7%), 의료급여(21.4%)가 뒤를 이었다. 반면 부양의무자 기준이 적용되지 않고 급여 기준선도 가장 높은 교육급여의 경우 응답 비율이 3.9%로 가장 낮았다.
복지제도 전반에 대한 사각지대 발생 사유는 ‘대상자가 신청하지 않아서(대상자 비신청)’가 45.7%로 가장 높았고, ‘제한적 대상 등 제도 설계 측면(구조적 배제)’도 36.1%나 됐다.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경우는 ‘구조적 배제’가 48%로 절반 가까이 꼽았으며 ‘대상자 비신청(36.7%)’, ‘대상자의 욕구 미충족(16%)’이 뒤를 이었다.
‘대상자의 비신청’ 사유는 ‘대상자가 몰라서’라고 응답한 비율이 복지제도 전반 70.9%,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67.3%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신청·선정 과정의 복잡성’, ‘선정 기준의 엄격성’이었다.
임 연구위원은 “‘사회적 낙인’과 같이 기존에 관심을 갖던 사각지대 발생 원인보다는 제도의 복잡성, 복지 대상자의 제도인지 여부 등과 같은 정보 측면의 원인이 사각지대 발생의 주원인임을 시사한다”면서 “지금까지의 제도 홍보 및 정보 제공 방식이 효과적이지 못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앙정부는 물론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복지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임 연구위원은 또한 “복지 프로그램의 대상자 중 정보 습득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노인과 정보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1인 가구 등이 정보 부족으로 복지급여를 신청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 더욱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