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위한 가전제품 접근성 향상 필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유달자립센터 작성일19-07-09 13:28 조회5,058회 댓글0건본문
장애인 위한 가전제품 접근성 향상 필요
소비자 관점에서의 가전제품 사용편리성 증대 요구 커져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9-07-05 14:13:33
사회적 소외계층인 장애인들은 일반 가전제품의 사용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상황의 주된 이유는 가전제품을 설계할 때, 장애인 소비자가 실제 가전제품을 사용할 때 불편함을 많이 호소하는 부분들에 대한 장애인 요구사항이 가전제품 설계에 반영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유로 장애인 소비자들은 비장애인 가전제품 소비자들과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의 격차가 더욱 벌어져 왔다.
하지만 장애인 소비자도 가전제품에 대한 접근성이 확보된다면 비장애인 소비자에 비해 더욱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사용 편의성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장애인 소비자의 가전제품 접근성 향상을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이 따르는데, 첫째는 장애인 소비자의 가전제품 접근성 보장을 위한 법률 및 관련 표준 제정 등 국가 차원의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며, 장애인 소비자의 장애 요인을 경감 또는 해결하기 위한 요구사항이 가전제품 설계에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양한 장애 유형의 장애인 소비자가 가전제품을 사용하는데 있어서의 사용 패턴 및 불편사항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가장 큰 장애 요인은 가전제품의 조작부 인터페이스의 복잡성으로 인한 접근성 부재, 피드백 부재에 따른 버튼의 위치 구분 및 자신이 선택한 버튼이 눌려진 횟수에 따라 현재 조작 상황에 대한 정보 획득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점, 그리고 가전제품의 크기 및 높이(깊이)에 따라 사용 범위가 한정적이라는 점이다.
국제표준화기구(ISO)는 사용자의 접근성의 목표를 제시하면서 쉽게 사용하고 적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접근성의 기본 원칙으로 언급하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시스템의 가장 접점에서 사용자와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요소이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의 복잡한 레이아웃에 따라서 혼란을 야기할 수 있지만 최소한의 레이아웃만으로 시스템이 제공하는 모든 기능들을 수용할 수 있다면 조작에 대한 사용성이 높아질 것이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의 현재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피드백이 제공된다면 시각 장애인 등 피드백이 절실히 필요한 사용자들에 대한 사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품의 어떤 위치에 탑재 되는냐에 따라서도 사용자의 사용성이 달라 질 수 있다.
특히 장애인 사용자에게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위치에 따라 조작 과정의 신체적 부하 및 시각적 정보 획득에 있어서의 사용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국가지표체계(통계청, 2018)에 의하면 국내 등록 장애인 인구수는 약 259만명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현재 IT· 가전제품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장애인과 고령자의 수는 약 1,000만명 이상에 이를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이러한 주된 이유 중 하나는 많은 웹 사이트를 비롯하여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그리고 가전제품 등 기타 다양한 기기들이 장애인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형태로 디자인되어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장애인, 노령층 등 이른바 ‘사회적 소외계층’들은 주류집단보다도 과학기술의 혜택을 통하여 더욱 혁명적인 삶의 변화를 가질 수 있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전자 정보 과학 기술 및 보조 공학의 발달은 일상 생활 뿐 아니라 이러한 정보기기 및 가전기기 활용에 있어 물리적인 장벽을 없앰으로써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고 잠재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모할 수 있다.
장애인들을 사회로부터 차별하거나 격리하지 않고 사회의 다른 구성원들과 함께 생활하는 개념인 노멀라이제이션(Normalization)에 대하여 사회적으로 많은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장애인들의 접근성 취약에 대한 장애인들의 삶의 질의 향상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한 사회적 과제가 되고 있으며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하에 다양한 대학 및 연구소 기관들을 중심으로 QoLT 사업이 진행된 바 있다.
QoLT는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과 기반의 조성에 그 의미가 크다. 즉, QoLT는 장애인을 위한 산업기술을 개발하여 장애인을 비롯한 사회적 취약 계층의 삶의 질 향상을 그 목표로 한다.
상대적으로 취약 계층에 속하는 장애인들은 특정 제품, 서비스 등을 쉽게 이용하는 것이 비장애인 소비자들에 비해 많은 제악을 가진다.
이러한 제악에 관계 없이 장애를 가진 소비자들도 기기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정도를 ‘접근성’이라는 용어로 설명하며 ‘접근성’이 높다는 것은 불편함이 없이 기기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접근성’이라는 개념은 국·내외적으로 웹 분야에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는데 최근 들어 가전제품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국가 표준(안) 제정 등 가전제품 분야에서도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가전제품의 접근성은 장애인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어야 한다.
기존 가전제품 가운데 모든 장애 유형에서 공통적으로 TV, 세탁기, 냉장고, 전자레인지 등이 가장 불편하다고 느끼며, 가전제품 사용 시
① 시각적 혹은 청각적 피드백 부재에 따른 인지적 문제
② 제품의 높이 및 깊이에 따른 사용 범위의 문제
③ 조작 장치의 접근성 부재로 인한 조작 문제가 실제 장애인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사용자가 직접 시스템과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는 조작 상황 및 시스템의 상태에 대한 피드백 제공 및 조작 장치의 접근성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장애인 사용자들은 보조기구를 활용하여 생활하는데 불편한 사항을 상당 부분 해결하고 있지만 온전히 보조기구에 의존하는 것보다 가전제품 자체 설계 시 실제 장애인이 필요로 하는 기능들을 충족시켜 주거나 불편함을 느끼는 부분을 해소할 수 있는 설계 사항이 반영되어 있다면 타인의 도움 없이 자립적으로 가전제품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대부분의 가전제품들은 이러한 측면에서 장애인 소비자들의 요구사항을 모두 반영하고 있지는 못하다.
앞서 잠시 언급한 접근성(Accessibility)이라는 개념을 넓은 의미로 정의하면 “특정한 사용의 상황에서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품, 시스템, 서비스, 시설이 넓은 범위의 특성과 능력을 가진 세대의 사람들에 의해 사용 되어질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이 관점은 접근성이 사용하기 쉬움(작업 효율성과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도)과 사용의 성공(즉, 시스템 효과)을 모두 관련한다는 것을 강조하는 개념이다.
접근성은 주로 웹 분야에서 주로 많이 적용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국가정보화기본법',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이하 ‘장애인차별금지법’이라 함)'을 제정하여 공공기관 등이 웹 접근성을 준수하도록 환경을 조성하였다.
법제도 마련과 더불어 정부에서는 웹 접근성 제고를 위해 접근성 표준화 웹 접근성 실태조사, 장애인 보조기기 개발 및 보급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가전제품의 접근성을 고려한 제품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의 주된 이유는 가전제품을 설계할 때, 장애인 소비자가 실제 가전제품을 사용할 때 불편함을 많이 호소하는 부분들에 대한 장애인 요구사항이 가전제품 설계에 반영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유로 장애인 소비자들은 비장애인 가전제품 소비자들과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의 격차가 더욱 벌어져 왔다.
하지만 장애인 소비자도 가전제품에 대한 접근성이 확보된다면 비장애인 소비자에 비해 더욱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사용 편의성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장애인 소비자의 가전제품 접근성 향상을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이 따르는데, 첫째는 장애인 소비자의 가전제품 접근성 보장을 위한 법률 및 관련 표준 제정 등 국가 차원의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며, 장애인 소비자의 장애 요인을 경감 또는 해결하기 위한 요구사항이 가전제품 설계에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양한 장애 유형의 장애인 소비자가 가전제품을 사용하는데 있어서의 사용 패턴 및 불편사항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가장 큰 장애 요인은 가전제품의 조작부 인터페이스의 복잡성으로 인한 접근성 부재, 피드백 부재에 따른 버튼의 위치 구분 및 자신이 선택한 버튼이 눌려진 횟수에 따라 현재 조작 상황에 대한 정보 획득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점, 그리고 가전제품의 크기 및 높이(깊이)에 따라 사용 범위가 한정적이라는 점이다.
국제표준화기구(ISO)는 사용자의 접근성의 목표를 제시하면서 쉽게 사용하고 적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접근성의 기본 원칙으로 언급하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시스템의 가장 접점에서 사용자와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요소이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의 복잡한 레이아웃에 따라서 혼란을 야기할 수 있지만 최소한의 레이아웃만으로 시스템이 제공하는 모든 기능들을 수용할 수 있다면 조작에 대한 사용성이 높아질 것이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의 현재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피드백이 제공된다면 시각 장애인 등 피드백이 절실히 필요한 사용자들에 대한 사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품의 어떤 위치에 탑재 되는냐에 따라서도 사용자의 사용성이 달라 질 수 있다.
특히 장애인 사용자에게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위치에 따라 조작 과정의 신체적 부하 및 시각적 정보 획득에 있어서의 사용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국가지표체계(통계청, 2018)에 의하면 국내 등록 장애인 인구수는 약 259만명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현재 IT· 가전제품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장애인과 고령자의 수는 약 1,000만명 이상에 이를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이러한 주된 이유 중 하나는 많은 웹 사이트를 비롯하여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그리고 가전제품 등 기타 다양한 기기들이 장애인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형태로 디자인되어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장애인, 노령층 등 이른바 ‘사회적 소외계층’들은 주류집단보다도 과학기술의 혜택을 통하여 더욱 혁명적인 삶의 변화를 가질 수 있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전자 정보 과학 기술 및 보조 공학의 발달은 일상 생활 뿐 아니라 이러한 정보기기 및 가전기기 활용에 있어 물리적인 장벽을 없앰으로써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고 잠재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모할 수 있다.
장애인들을 사회로부터 차별하거나 격리하지 않고 사회의 다른 구성원들과 함께 생활하는 개념인 노멀라이제이션(Normalization)에 대하여 사회적으로 많은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장애인들의 접근성 취약에 대한 장애인들의 삶의 질의 향상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한 사회적 과제가 되고 있으며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하에 다양한 대학 및 연구소 기관들을 중심으로 QoLT 사업이 진행된 바 있다.
QoLT는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과 기반의 조성에 그 의미가 크다. 즉, QoLT는 장애인을 위한 산업기술을 개발하여 장애인을 비롯한 사회적 취약 계층의 삶의 질 향상을 그 목표로 한다.
상대적으로 취약 계층에 속하는 장애인들은 특정 제품, 서비스 등을 쉽게 이용하는 것이 비장애인 소비자들에 비해 많은 제악을 가진다.
이러한 제악에 관계 없이 장애를 가진 소비자들도 기기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정도를 ‘접근성’이라는 용어로 설명하며 ‘접근성’이 높다는 것은 불편함이 없이 기기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접근성’이라는 개념은 국·내외적으로 웹 분야에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는데 최근 들어 가전제품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국가 표준(안) 제정 등 가전제품 분야에서도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가전제품의 접근성은 장애인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어야 한다.
기존 가전제품 가운데 모든 장애 유형에서 공통적으로 TV, 세탁기, 냉장고, 전자레인지 등이 가장 불편하다고 느끼며, 가전제품 사용 시
① 시각적 혹은 청각적 피드백 부재에 따른 인지적 문제
② 제품의 높이 및 깊이에 따른 사용 범위의 문제
③ 조작 장치의 접근성 부재로 인한 조작 문제가 실제 장애인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사용자가 직접 시스템과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는 조작 상황 및 시스템의 상태에 대한 피드백 제공 및 조작 장치의 접근성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장애인 사용자들은 보조기구를 활용하여 생활하는데 불편한 사항을 상당 부분 해결하고 있지만 온전히 보조기구에 의존하는 것보다 가전제품 자체 설계 시 실제 장애인이 필요로 하는 기능들을 충족시켜 주거나 불편함을 느끼는 부분을 해소할 수 있는 설계 사항이 반영되어 있다면 타인의 도움 없이 자립적으로 가전제품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대부분의 가전제품들은 이러한 측면에서 장애인 소비자들의 요구사항을 모두 반영하고 있지는 못하다.
앞서 잠시 언급한 접근성(Accessibility)이라는 개념을 넓은 의미로 정의하면 “특정한 사용의 상황에서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품, 시스템, 서비스, 시설이 넓은 범위의 특성과 능력을 가진 세대의 사람들에 의해 사용 되어질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이 관점은 접근성이 사용하기 쉬움(작업 효율성과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도)과 사용의 성공(즉, 시스템 효과)을 모두 관련한다는 것을 강조하는 개념이다.
접근성은 주로 웹 분야에서 주로 많이 적용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국가정보화기본법',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이하 ‘장애인차별금지법’이라 함)'을 제정하여 공공기관 등이 웹 접근성을 준수하도록 환경을 조성하였다.
법제도 마련과 더불어 정부에서는 웹 접근성 제고를 위해 접근성 표준화 웹 접근성 실태조사, 장애인 보조기기 개발 및 보급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가전제품의 접근성을 고려한 제품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